본문 바로가기
자동차뉴스

대한민국 최초의 경차! 1991대우 티코

by RIVE 2021. 9. 16.
반응형
SMALL
1991대우 티코

대우 티코 대우국민차(한국GM의 전신)에서 만든 5인승 경차로, 대한민국 최초의 경차입니다.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생산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국민차 계획에 입각하여 1980년대 후반에 대우조선(대우조선해양의 전신) 일본 스즈키와 계약을 맺고 경차 알토(3세대)를 바탕으로 개발, 1991년부터 경상남도 창원시 대우국민차 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네이버 이미지

대한민국 외에도 저개발 국가의 엔트리카로도 인기를 끌었으며,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폴란드 등의 대우자동차 현지 공장에서도 생산되었습니다. 단종된 후에는 중고차로 많이 수출되어, 대한민국 국내에는 잔존 대수가 감소했습니다.

 

초기형 티코

1991년부터 국내 유일의 경차로서 창원시의 대우국민차 공장(현재의 한국GM 창원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는데, 출시 목표 가격은 200만 원 대였으나, 물가 인상 폭과 부품 단가 문제로 실제로는 3~4백만 원 대에 판매되었습니다. 그래도 당시로서는 매우 저렴한 가격이었습니다. 

스즈키 알토 3세대

원형인 스즈키 알토 3세대를 거의 외형 디자인의 변경 없이 들여와 생산한 만큼 엔진도 스즈키의 엔진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당시 스즈키의 경차 엔진 가운데 수출용 버전인 800cc급인 F8B의 개량형인 F8C를 얹어 41마력을 냈습니다. 너무 빈약한 출력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차 중량이 600kg대 초반, 총 중량도 1톤을 밑도는 가벼움이 시내 주행에서는 가속력 부족을 제외한 부분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게 만들었습니다. 티코에 들어간 헬리오스 엔진은 이후 대우자동차에서 자체적인 개량을 거쳐 마티즈 1/2의 F8CV, 그리고 올 뉴 마티즈의 A08S3로 이어졌습니다.

 

티코 유머

한때 식용유만 넣어도 간다는 도시전설이 나돌았지만 어디까지나 티코의 연비에 대한 과장일 뿐 티코는 휘발유 차량이므로 이런 일은 무입니다. 자세한 것은 식용유 문서 참고. 다만, 주유소 업계 쪽에서는 경유를 혼유해도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주유구도 일반적인 휘발유 차량보다 큽니다

또 하나의 도시전설로써 후방 TiCO 로고의 'i' 부분의 붉은 색 동그라미 부분을 일정 숫자 이상 만지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이야기가 돌기도 했습니다. 일본에서도 특정 차량의 로고를 만지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식의 도시전설(징크스?)이 있으므로,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어쩌면 오나타의 원조격일지도 모릅니다.

 

안전성

경차는 위험하다는 인식을 만들어놓은 차나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연비, 그러니까 출력대비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차량 무게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 경량화를 위해 가볍고 튼튼한 소재를 이용하면 뭐가 됐든 가격상승이 필연적입니다. 허나 국민 경차를 표방하는 티코는 그 배기량에서 연비까지 좋게 하기 위해서 경량 소재를 활용하기보다는 섀시를 가늘게 뽑는 것으로 중량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위에서 보듯 충돌안전성이 최악입니다.

 

대우자동차는 원판인 스즈키 알토보다도 섀시를 훨씬 얇게 뽑아버렸고, 한없이 가벼운 중량과 나약한 강성 때문에 고속도로에 올라가면 그 존재 자체가 민폐이자 시한폭탄입니다. 화물차가 지나가면 공기의 흐름에 휩쓸려서 차체가 옆으로 밀려납니다다. 전방충돌안전성에 취약한 원박스형 승합차, 화물차도 티코에 비하면 안전합니다. 다시 말하면 뉴 그레이스와 뉴 포터가 티코보다 안전합니다.

 

제원 및 가격

 

구분 0.8 헬리오스
전장
(mm) 
3,340
전폭
(mm) 
1,400
전고
(mm) 
1,395
축거
(mm) 
2,335
윤거
(전, mm) 
1,200
윤거
(후, mm) 
1,200
승차 정원  2명(밴)/5명
변속기  수동 4단
수동 5단
자동 3단
서스펜션
(전/후) 
맥퍼슨 스트럿/세미 트레일링 암
구동 형식  전륜구동
연료  휘발유
배기량
(cc) 
796
최고 출력
(ps/rpm) 
41/5,500
최대 토크
(kg*m/rpm) 
6.0/2,500
연비
(km/ℓ) 
24.1(수동 4단, 수동 5단, 반자동 5단)/
18.1(자동 3단)
   

 

반응형
LIST

댓글